관리 (Management)
후보돈 분류

후보돈 산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농장 역할)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 후보돈 산자수와 모돈 일생동안의 산자수

 2. 후보돈 산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종돈장 역할)

 3. 후보돈 산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농장 역할)

 4. 후보돈 관리를 통한 농장의 평균 총산 증가 사례 


 이번 주제는 3편 후보돈 산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요소들 중 농장 역할 5가지를 알아보겠다. 전편에서 종돈장 역할 3가지를 살펴봤다. 


 미리참고사항을 언급하자면 근거로 제시할 아래의 논문들의 결과는 논문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점을 오해하지 말길 바란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후보돈 산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농장의 역할 5가지를 알아보겠다. 농장의 역할 5가지는 농장에 후보돈 입식 후 초교배 시점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중점을 둔다. 


1. 첫번째 후보돈 성성숙 유도이다. 


 보통 농장에 후보돈 입식일령은 약 150일령 전후이며 성성숙은 빠르면 160~170일령부터 나타난다. 아래에서 성성숙과 발정에 관련된 자료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돈수의사들의 바이블인 'Disease of swien 10th'에 따르면 후보돈 도입 이후 160~170일령부터 웅돈 접촉을 권장한다. 왜냐하면 후보돈이 웅돈에 빠르게 반응할수록 임신 가능성이 증가하고 웅돈 접촉 28일이 지나도 성성숙을 보이지 않는 개체는 임신 가능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후보돈 접촉용 웅돈은 상악골하 침색의 충분한 페로몬 생산이 가능한 10개월령 이상을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 웅돈 접촉 방식은 매일 15분 이상 접촉하되 후보돈과 웅돈의 사육 돈방의 거리는 1m 이상 떨어뜨린다. 후보돈과 웅돈이 너무 인접한 곳에서 사육되면 웅돈 접촉시 반응하지 않아 발정 징후가 나타날 확률이 떨어진다. 


 웅돈 접촉과 미접촉 관련 실험자료에 따르면 25일 이상 지연발정은 웅돈 접촉 3.0% vs 미접촉 32.0%로 웅돈 접촉시 매우 낮은 반면 미접촉시 매우 높다. 또한 3번 연속 발정을 보일 확률은 웅돈 접촉시 97.0% vs 미접촉 66.0%로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Philip et al 1997). 


 PIC의 HNS 프로그램을 소개하겠다. HNS란 Heat No Service의 약자로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웅돈 노출을 통해 후보돈의 빠르고 강한 발정을 유도하는 것이다. 초발정이 빠르고 강할수록 모돈의 평생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발정 확인을 통해 HH후보돈(발정 확인 안된 후보돈)을 찾아내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실행 방법은 양질의 웅돈을 노출시키고 후보돈의 초발정 확인 및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발정 확인 안된 후보돈을 처치한다(그림 1). 아래 자료는 PIC 전수동 수의사님의 자료를 발췌했다. 


b83bd9a93e4c24118ae4f1162676ab4d_1647832641_9144.jpg
(그림 1) PIC HNS 프로그램의 웅돈 노출 방법 


2. 두번째 초교배 시점의 발정 횟수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2회 이상 발정온 상태의 후보돈을 교배했을때 가장 좋은 산자수를 얻는다. 

 17년 15일간의 덴마크 연수중 DanAvl 회사에서 교육받은 자료이다. 6,7,8개월 초발정 일령이 다른 상황에서 1~3차 발정 교배했을때 총산이 어떻게 다른가를 보여준다. 결과는 초발정이 빠르건 느리건 2회 이상 발정온 후보돈을 교배했을때 총산 성적이 가장 좋다(그림 2). 

b83bd9a93e4c24118ae4f1162676ab4d_1647832709_8233.jpg
(그림 2) 덴마크 덴브리드 초교배 시점 발정횟수와 총산 


 다른 논문의 초교배 시점 발정 횟수와 1~3산 총산 합의 결과를 보면 2회 발정 상태에서 초교배 했을때 33.9두로 가장 높은 총산을 보인다(Williams et al 2005). 다른 발정 상태의 결과를 보면 3회 발정 초교배는 33.1두, 4회는 33.4두, 5회는 33.6두를 나타낸다.

3. 세번째 초교배 시점의 등지방의 두께이다.

 보통 등지방 측정은 모돈 체형관리를 위해 활용한다. 후보돈의 경우 초교배 시점에서 등지방의 두께에 따라 산자수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등지방 측정은 농장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필자의 경우 다산성 후보돈 기준 초교배 시점의 등지방 두께를 15mm 이상으로 권장한다.

 등지방 측정 기계 구매와 사용방법이 어렵다고 한다면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등각 측정이 있다. 다른 주제에서 등각 측정을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등지방 관련 자료를 살펴보겠다.

 중국 12개 일괄사육농장 요크셔 19,300두, 랜드레이스 18,378두의 등지방과 산자수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초교배 시점의 등지방 두께가 18mm를 초과한 V그룹에서 가장 높은 총산과 실산을 나타낸다(그림 3).

b83bd9a93e4c24118ae4f1162676ab4d_1647832816_6536.jpg
(그림 3) 중국 12개 농장의 등지방 그룹별 총산과 실산 데이터 

 폴란드 서부지역의 초산돈 89두를 대상으로 실험한 다른 논문의 초교배 시점의 등지방과 산자수 결과를 보면 P2a 등지방 두께 18mm의 실산 11.9두, P2b 등지방 두께 19mm의 실산 11.0두로 가장 높은 실산을 보인다.  등지방 두께 18~19mm 사이의 그룹에서 가장 좋은 실산을 나타낸다(그림 4). 

b83bd9a93e4c24118ae4f1162676ab4d_1647832877_7476.jpg

(그림 4) 초교배 시점의 등지방과 실산 

4. 네번째 초교배 시점의 일령이다.

 만약 170일령의 빠른 성성숙이 있는 후보돈이라면 21일 간격 발정이 온다고 가정할때 3회 발정 시점 초교배한다고 해도 212일령 밖에 되지 않는다. 212일령으로 어릴지라도 체중이 130kg 이상으로 충분하다면 문제가 안될 수 있으나 보통 교배하기 적절한 체중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국내에서 소개하는 자료들을 보면 초교배 일령을 260일 이상을 권장한다. 3~4년 전에는 240일령 140kg 정도를 권장한것과 차이가 있다. 하지만 필자는 여기에 동의하지 않고 최소 220~230일령부터 교배를 시작하되 반드시 135kg 이상의 적절 체중에 도달한 개체만 교배하기를 권장한다. 그 이유는 2~3달에 후보돈을 입식해서 한꺼번에 교배를 하지 않기 때문에 교배가 먼저 시작하는 그룹의 초교배일령이 늦어지면 농장 평균 초교배일령이 늦어지고 결과적으로 후보돈의 산자수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세번째 초교배 시점의 등지방 두께에서 소개한 동일한 중국의 데이터를 인용했다. 실험 결과를 보면 230일 미만의 초교배일령 그룹 I에서 가장 높은 총산과 실산의 합계를 나타낸다(그림 5). 초교배일령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산자수의 총합은 감소한다. 

b83bd9a93e4c24118ae4f1162676ab4d_1647832948_3991.jpg
(그림 5) 초교배 시점의 일령과 산자수 

 2013년 피그챔프 데이터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229~243일 초교배 그룹읠 일생동안 총산의 합이 62.5두로 가장 높다(Bussieres 2013). 다른 초교배일령과 일생동안 총산의 합 결과를 보면 201~215일 58.3두, 215~229일 59.1두, 243~257일 60.0두, 257~271일 56.7두, 271~284일 56.6두를 보인다. 평균 초교배일령이 257일 이상 늦어질수록 일생동안 총산의 합이 감소하며 오히려 229일 이전의 이른 초교배일령 보다 총산의 합이 낮다. 

5. 마지막으로 초교배 시점의 체중이다. 

 위에서 언급한 4가지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135kg 이상의 적절한 교배체중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교배를 늦춰야 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4가지 조건을 충족하면 필자가 제시한 적절한 교배체중에 도달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농장에서 후보돈의 체중, 체형만 고려해서 교배를 하는것이 문제점이다. 

 2013년 피그챔프 데이터의 기록를 분석한 결과 초교배 체중과 일생동안 총산자수 합계를 보면 145~160kg 그룹이 61.1두로 가장 높다(그림 6). 너무 작은 체중 또는 큰체중에 초교배 그룹의 경우 오히려 산자수가 감소한다.

 필자는 135~140kg 초교배 체중을 이상적으로 생각한다. 

b83bd9a93e4c24118ae4f1162676ab4d_1647833008_1524.jpg
(그림 6) 초교배 시점의 체중(kg)과 일생 동안 총산의 합 (Bussieres, 2013)

6. 참고 문헌

1. Hu B, Mo DI, Wang XY, Liu XH, Chen YS. Effects of back fat, growth rate, and age at first mating on Yorkshire and Landrace sow longevity in China. Journal of Integrative Agriculture 2016, 15(12): 2809–2818

2. Matysiak B, Kawęcka M, Jacyno E. The effect of backfat thickness in gilts on day of mating on their reproduction performance. Czech J. Anim. Sci., 50, 2005 (12): 535–544 Original.

3. Dzhamaldinov AC, Narizhny AG. Influence of gilts body weight at first insemination on further productivity. 

4. Kim JS,m, Yang X, Baidoo SK.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of Primiparous Sows during Late Gestation and Subsequent Reproductive Efficiency over Six Parities. J. Anim. Sci. Vol. 29, No. 6 : 768-774 June 2016.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