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사 모돈 사료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95 조회
- 목록
본문
6. 임신돈 등지방과 사료 섭취량이 포유돈 사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7. 포유기간 모돈의 사료 섭취량과 체형변화가 생산성적에 미치는 영향
8. 분만사 모돈 사료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9. 분만 예정일 절식은 과연 임신 모돈에게 좋은것일까?
10. 후보돈, 이유모돈 교배 5~7일전 강정 사양의 중요성
1. 사료 급여 횟수
68두 모돈(각 그룹당 8~10두)을 대상으로 4그룹은 하루 2회, 나머지 4그룹은 하루 3회 포유돈 사료급여를 진행했다. 그룹내 모돈들은 2산 미만과 3산 이상으로 산차를 분류했다.
포유기간 26일 동안 하루 3회 급여 그룹에서 평균 사료 섭취량은 0.5kg/d(5.8 ± 0.1 vs 5.3 ± 0.0kg/d), 전체 사료 섭취량은 13.2kg(151.9 ± 3.3 vs 138.7 ± 2.7kg) 이상 높게 나타났다(p<0.05)(그림 1).
(그림 1) 포유기간 하루 2회 vs 3회 사료 급여 그룹의 평균 사료 섭취량 곡선* 하루 3회 vs 4회 급여
모돈 60두(2산 13두, 3산 23두, 4산 17두, 7산 5두)를 대상으로 2그룹으로 분류하고 한그룹(T1)은 하루 3회(6시, 11시, 17시) 2kg씩, 다른 그룹(T2)은 하루 4회(6시, 11시, 17시, 22시) 1.5kg씩 포유돈 사료를 급여했다.
하루 4회 급여(T2) 그룹은 포유기간 평균 사료 섭취량이 330g/d(5.47 vs 5.14kg/d) 높고 체중과 등지방 감소는 적게 나타났다(p<0.05)(표 1).
(표 1) 여름동안 포유돈의 번식성적에 대한 사료 급여 횟수의 효과2. 사료 형태 (건식 vs 습식)
* 발효 액상 vs 비발효 액상 vs 펠렛 건식
35주령 후보돈 18두를 대상으로 3그룹으로 분류하고 발효 액상사료(FLF), 비발효 액상사료(NFLF), 펠렛 건식사료(DF)의 서로 다른 사료를 급여했다. 액상사료는 물과 펠렛 건식사료 비율을 2:1로 혼합해서 만들었다.
포유 2~3주 동안 액상사료(FLF, NFLF)를 급여한 모돈들의 평균 사료 섭취량은 건식사료(DF) 급여 모돈보다 15~20% 높게 나타났다(표 2).
(표 2) 포유기간 3주동안 발효 액상사료(FLF), 비발효 액상사료(NFLF), 펠렛 건식사료(DF) 급여한 후보돈들의 평균 사료 섭취량(DM kg/day)* 액상 사료의 장점
Pig333 사이트에 게재된 '액상사료 급여의 장점과 단점' 글의 일부 내용을 발췌했다. 포유돈 액상사료 급여의 장점중 하나로 건식사료 대비 사료 섭취량이 20%(더운 기간은 40%) 이상 증가한다(표 3).
(표 3) 액상사료의 장점(https://www.pig333.com/articles/advantages-and-disadvantages-of-liquid-feeding-for-sows_7416/)3. 산차
분만 3배치 동안 모돈 155두를 대상으로 산차와 포유돈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를 평가했다. 평균 포유기간 33.7 ± 2.2일 기준으로 평균 사료 섭취량은 1산 7.4 ± 1.1kg/d, 2산 7.8 ±1.1kg, 3~7산 8.6 ± 1.1kg/d으로 나타났다(그림 2).
(그림 2) 산차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관계(Mean ± SE)NRC(1987) 결과에 따르면 분만사 모돈의 평균 사료 섭취량은 5.17kg/d인 반면에 후보돈은 15% 적게 사료를 섭취한다. 4개의 논문 결과에서 산차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공식에 따르면 6~7산에서 섭취량이 최대치에 도달하고 산차가 1 -> 7산 증가하면 사료 섭취량은 0.73kg/d, 또는 1 -> 9산 증가하면 사료 섭취량은 0.81kg/d(4.51 -> 5.32kg) 증가한다(그림 3).
(그림 3) 산차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4. 포유두수
모돈 19,393두의 이유시점 포유두수와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평가했을때 포유두수가 3 -> 13두 증가하면 포유기간 평균 사료 섭취량은 0.6kg/d(4.4 -> 5.0kg/d) 증가한다. 다른 논문의 결과에서 포유두수 3 -> 13두 증가하면 0.96kg/d 증가한다(그림 4).
(그림 4) 포유두수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14~19일 포유일수의 초산돈(분만시 체중 160kg)의 경우 포유두수가 9 -> 11두 증가하면 85% 에너지 밸런스를 충족하기 위한 필요한 사료 섭취량은 6.27kg -> 7.36kg 증가한다(표 4).
(표 4) 포유일수와 포유두수가 사료섭취량에 미치는 영향5. 분만사 온도
* 평균 23.7°C vs 26.1°C 조건
열대 기후 조건에서 모돈 86두를 대상으로 포유 28일 동안 온도/습도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를 평가했다. 따뜻한 계절은 평균 온도 23.7°C(20.7 ~ 28.0°C), 습도 93.5%(82.3 ~ 98.4%)이고 더운 계절은 평균 온도 26.1°C(23.3 ~ 29.4°C), 습도 93.7%(87.0 ~ 97.7%)의 조건이었다.
더운 계절에서 평균 사료 섭취량은 감소(3.69 vs 4.72kg/d, p<0.05)했고 1°C 증가할수록 사료섭취량은 500g/d씩 감소했다. 다만 포유 1~5일 사이의 사료 섭취량은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그림 5).
(그림 5) 포유기간 사료 섭취량에 대한 계절의 영향* 쿨링패드 효과
고온 환경 조건의 브라질 중서부에 위치한 농장에서 모돈 144두를 대상으로 분만사 쿨링패드의 효과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쿨링 패드 분만사는 온도 29.4 ± 2.6ºC와 습도 85.4±16.5%, 일반 분만사는 온도 30.2 ± 2.9ºC 조건이었다. 평균 포유일수는 21일이고 포유기간 모돈에게 무제한 사료를 급이했다.
1산, 2산(실험 1)에서 일반 분만사보다 쿨링패드 분만사에서 더 높은 사료 섭취량을 기록했다(3.36 vs 5.03kg/d, p<0.001)(그림 6).
쿨링패드 분만사에서 포유기간 모돈의 체중 손실(2.28kg, 1.31% vs 19.17kg, 9.23%) 감소와 자돈의 일당증체량(206g vs 151g)이 높게 나타났다(p<0.001).
(그림 6) 분만사 환경 온도에 따라 1산, 2산 모돈의 평균 사료 섭취량3~8산(실험 2)에서 일반 분만사보다 쿨링패드 분만사에서 더 높은 사료 섭취량을 기록했다(4.56 vs 5.71kg/d, p<0.001)(그림 7).
쿨링패드 분만사에서 포유기간 모돈의 체중 손실(0.08kg, 0.14% vs 17.71kg, 6.68%) 감소와 자돈의 일당증체량(215g vs 184g)이 높게 나타났다(p<0.001).
(그림 7) 분만사 환경 온도에 따라 3~8산 모돈의 평균 사료 섭취량6. 품종
19개월 동안 3개 품종(듀록 42두, 랜드레이스 405두, 요크셔 358두)의 포유돈 993두를 대상으로 사료 섭취량을 평가했다.
포유기간 19일 동안 평균 사료 섭취량은 듀록 6.14 ± 2.0kg/d, 랜드레이스 6.61 ± 2.2kg/d, 요크셔 6.86 ± 2.3kg/d으로 나타났다(표 5).
(표 5) 품종별 평균 포유일수, 하루 사료섭취량, 하루 ME 섭취량포유기간 20일 동안 1~3산 요크셔와 랜드레이스의 전체 사료 섭취량을 평가했을때 요크셔가 더 많은 사료를 섭취했다(표 6).
(표 6) 1~3산 요크셔, 랜드레이스 포유돈 사료 섭취량(kg)7. 참고 문헌
2. Poulopoulou I, Eggemann A, Moors E, Lambertz C, Gauly M. Does feeding frequency during lactation affect sows' body condition, reproduction and production performance? Anim Sci J. 2018 Nov;89(11):1591-1598.
3. Choi YH, Moturi J, Hosseindoust A, Kim MJ, Kim KY, Lee JH, Song CH, Kim YH, ByungJo Chae BJ. Night feeding in lactating sows is an essential management approach to decrease the detrimental impacts of heat stress. J Anim Sci Technol 2019;61(6):333-339.
4. Demečková V, Tsourgiannis CA, Brooks PH. Effect on average daily feed intake during lactation and piglet growth during the first 2 weeks of life of feeding sows fermented liquid feed, non-fermented liquid feed or dry feed. Published online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November 2017.
5. Francisco Chacartegui Gómez.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iquid feeding for sows. https://www.pig333.com/articles/advantages-and-disadvantages-of-liquid-feeding-for-sows_7416/
6. Boyd RD, Castro GC, Cabrera RA. Nutrition and Management of the Sow to Maximize Lifetime Productivity. Advances in Pork Production (2002) Volume 13, pg. 47.
7. Eissena JJ, Kanisa E, Kemp B. Sow factors affecting voluntary feed intake during lactation.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64 (2000) 147–165.
8. Thingnes SL, Ekker AS, Gaustad AH, Framstad T. Ad libitum versus step-up feeding during late lactation: The effect on feed consumption, body composition and production performance in dry fed loose housed sows. Livestock Science 149 (2012) 250–259.
9. Silva BAN, Noblet J, Donzele JL, Oliveira RFM, Primot Y, Gourdine JL, Renaudeau D.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and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of mixed-parity lactating sows in a tropical humid climate. J. Anim. Sci. 2009. 87:4003–4012.
10. Kiefer C, Martins LP, Fantini CC. Evaporative cooling for lactating sow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R. Bras. Zootec., v.41, n.5, p.1180-1185, 2012.
11. Bergsma R, Kanis E, Verstegen MWA, E.F. Knol EF. Genetic parameters and predicted selection results for maternal traits related to lactation efficiency in sows. Journal of Animal Science (2008) 86:1067-1080.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