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사 분류
DATA로 보는 다산성 모돈의 특징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35 조회
- 목록
본문
최근 들어 높은 총산자수를 나타내는 번식 모돈, 일명 다산성 모돈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 돼지들에 대한 사양관리에 많은 관심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많은 원고와 책자를 통해서 다양한 사양관리 방식이 소개되고 있고 적절히 농장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 다산성 모돈이 가지고 있는 외형적 특징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길다”, “보이는 것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간다.”, “등지방이 얇다.”등 수치적인 것보다는 기존 돼지와 비교된 것 밖에 없는게 국내 양돈의 현실이다. 그리고 기존 돼지와의 외형적인 특징이 달라서 다산성 모돈을 사육하면서 발생되는 문제들도 필자는 경험을 통해서 알고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기본적인 다산성 모돈에 대한 외형적은 DATA를 제공하여 다산성 모돈을 입식 받기 전에 사전에 이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셨으면 하는 바램이다. 아래의 DATA는 국내에 다산성 모돈이 입식되면서 기존의 돼지와 외형적인 DATA를 비교한 자료이다. 대부분의 자료는 국내의 종돈장에서 측정된 평균 수치만 제공하는데 본고의 의미를 두고 싶다.
1. 모돈의 체장
체장 측정 기준은 산차별로 측정하였으며 측정기준은 ①번을 기준으로 하여 모돈 위에서 측정하였다(그림 1).
(그림 1) 다양한 모돈의 체장 측정 기준
다산성 모돈은 기존 모돈에 비해서 체장이 길며 기존 모돈 5산의 길이와 다산성 모돈 3산의 체장은 비슷하다. 다산성 모돈이 혼합된 비율이 높을수록 체장의 길이는 더 길어 진다. 다산성 모돈이 입식되기 전에 농장의 스톨 길이를 점검하여라. 모돈을 노산차까지 활용할 계획이라면 스톨 길이는 2300cm 이상이 되는 것이 좋다 (그림 2). 다산성 모돈 비율 0%는 기존 돈군, 50%는 모돈 또는 웅돈만 다산성 모돈일 경우, 100%는 모돈, 웅돈 모두 다산성 모돈을 경우를 나타낸다.
(그림 2) 다산성 모돈 비율별 산차별 체장의 길이 (cm)
(표 1) 90kg 대의 각 모돈별 육성돈의 체장 길이
2. 모돈의 체심
실제 임신 모돈은 많은 시간을 누워서 보낸다. 다산성 모돈 중에 후보돈을 제외한 경산돈이 탈항 또는 질탈이 많이 발생한다면 스톨의 폭을 확인해야 한다. 스톨의 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돼지의 어깨 넓이 보다는 체심(Sow Depth)과 매우 관련이 깊다.
왜냐하면 돼지는 대부분 옆으로 누워서 쉬기 때문이다. 다산성 모돈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산자수로 인하여 체심이 굉장히 깊어지는 경향이 있다. 다산 모돈으로 변경 후에 노산에서 탈항 또는 질탈이 많이 생긴다면 농장의 위의 부분에 대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
3. 90kg 육성돈의 체장
체장의 길이는 약 12.7cm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1).
|
두수 |
평균 체중 |
체장 |
다산성 모돈의 육성돈 |
40두 |
83.0kg |
115.8cm |
기존 모돈의 육성돈 |
18두 |
86.1kg |
103.1cm |
4. 산차별 모돈의 평균 등지방
다산성 모돈의 등지방은 기존 모돈에 비해 약 3~7mm정도 얇다. 다산성 모돈의 등지방은 임신 중기 이후로 기존 모돈에 비해 많이 증가하지 않는다. 다산성 모돈의 경우 임신 모돈의 체형을 중기 이전까지 만들어 놓아야 한다 (그림 3).
(그림 3) 산차별 다산성 모돈과 기존 모돈의 등지방 두께 비교 (등지방 두께는 P2 지점에서 측정, 단위는 mm)
5. 산차별 분만시, 이유시 평균 체중
5. 산차별 분만시, 이유시 평균 체중
산차별 분만시 평균 체중은 산차에 따라서 증가하며 2산에서 3산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체중이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분만시 체중을 보았을 때 다산성 모돈은 3산차에 대부분 성장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에 농장 시설과 돼지의 체형이 맞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보일 수 있다 (그림 4).
(그림 4) 다산성 모돈의 산차별 평균 체중 (약 1년간 모돈 400두의 분만, 이유시점에 실제 체중계로 측정, 단위는 kg)
6. 글을 마치며...
모돈의 체형관리는 번식성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눈으로하는 Body Condition Score(BCS), 등지방 측정, 캘리퍼를 통한 측정, 체중 측정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돼지의 체형을 가장 객관적이고 대표할 수 있는 수치는 체중이지만 실제 농장에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활용하기 어렵다. 대부분 BCS 측정, 등지방 측정, 캘리퍼등을 현장에서 활용하여 체형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현재 내가 체형관리를 잘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면 위의 산차별 평균 수치에 비교해보면 돼지가 어느정도 잘 체형관리가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돼지에 사양관리하는데 있어서 기존 돼지와의 차이를 인식하여 관리한다면 좀 더 많은 돼지의 유전능력을 발현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7. 참고 문헌
1. JJ McGlone et al., The physical size of gestation sow., J Anim SCI., 2004.
관련자료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