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돈 등지방과 사료 섭취량이 포유돈 사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562 조회
- 목록
본문
6. 임신돈 등지방과 사료 섭취량이 포유돈 사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7. 포유기간 모돈의 사료 섭취량과 체형변화가 생산성적에 미치는 영향
9. 분만 예정일 절식은 과연 임신 모돈에게 좋은것일까?
10. 후보돈, 이유모돈 교배 5~7일전 강정 사양의 중요성
1. 분만전 모돈의 등지방(두께, 함량) 상태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관계
* 초산돈 35두를 대상으로 분만시점 등지방 함량(g/kg BW, 280g vs 340g)과 포유돈 사료 섭취량
분만시점 비슷한 체중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임신기간 동안 2그룹의 모돈에게 2.3kg/d(조단백 5.8%, 14.6 MJ DE/kg) vs 1.7kg/d(조단백 15.6%, 14.5 MJ DE/kg)으로 사료 급여량을 다르게 적용하고 포유기간 동안 고단백(조단백 19.0%, 15.6 MJ DE/kg) 또는 저단백(조단백 7.9%, 15.5 MJ DE/kg) 사료를 급여했다.
분만시점의 체중은 152~158kg로 유사했지만 등지방 함량(fat/kg BW)은 280(lean) vs 340(fat)으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지방이 많은 그룹(fat)은 지방량은 13kg(p<0.001) 많고, 살코기량은 6kg(p=0.019) 적었다.
결과적으로 포유 4주동안 평균 사료 섭취량은 3.59kg/d vs 5.15kg/d으로 지방이 많은 그룹(fat)에서 1.6kg/d(30%)를 적게 섭취했다(p<0.001)(그림 1).
(그림 1) 포유기간 저단백 또는 고단백 사료를 급여한 Fat 그룹과 Lean 그룹의 포유돈 사료 섭취량(kg/d)* 모돈 684두를 대상으로 분만시점 등지방 두께(mm, 17미만 vs 17~21 vs 21초과)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분만시점 등지방 두께 19mm를 목표로 임신 0일 ~ 101일까지 일정한 사료량을 급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분만시점 등지방 17mm미만(-23.7kg, -2.1mm) 그룹은 17~21mm(-27.4kg, -3.2mm), 21mm초과(-28.3kg, -4.8mm) 그룹보다 포유기간 체중 손실(p<0.08)과 등지방 손실(p<0.01)이 적고 사료 섭취량(p<0.04)이 많았다. 등지방 21mm 초과 그룹은 다음산차 총산이 낮았다(p<0.02)(표 1).
(표 1) 포유기간 모돈의 번식성적과 사료 섭취량에 대한 등지방 두께의 영향* 1~5산 모돈 2,875두를 대상으로 임신 109일 등지방 두께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1~5산 모돈 2,875두를 대상으로 임신 109일 등지방 두께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관계를 조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등지방 두께가 증가할수록 포유돈 사료 섭취량은 감소했다(p<0.0001)(그림 2).
(그림 2) 임신 109일 모돈의 등지방 두께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관계(Kim et al 2015; Dritz et al 2018)* 모돈 255두를 대상으로 분만시점 등지방 두께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모돈 255두(2산 44두, 3산 43두, 4산 이상 168두)을 대상으로 임신 27일 시점에 체중과 등지방에 따라 유지에너지 x0.5, x1.0, x1.5, x2.0 ~ x 2.0으로 사료량을 다르게 적용했다.
분만후 등지방 두께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냈다. 등지방 두께가 1mm 증가하면 포유돈 사료 섭취량은 110g/d 감소했다(p<0.01)(그림 3).
(그림 3) 군사, 개인스톨 사육환경에서 분만후 등지방 두께와 포유돈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2. 임신기간 사료섭취량과 포유돈 사료섭취량 관계
*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를 정리한 6개 논문 결과
모두 임신돈 사료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포유돈 사료 섭취량은 감소하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냈다(그림 4).
(그림 4)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 섭취량 사이의 관계* 미국의 대규모 양돈장에서 임신기간 사료 급여량을 다르게 조절 후 포유돈 사료 섭취량 변화
해당 날짜의 사료 섭취량은 6개월 연속 평균값을 표시했고 임신돈 사료 섭취량이 감소할수록 포유돈 사료 섭취량은 증가하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냈다(그림 5).
(그림 5) 임신돈 사료급여량 감소 후 포유돈 사료 섭취량의 변화(Goodband et al 2006)* 모돈 407두를 대상으로 임신 90일 ~ 분만까지 1.8kg/d vs 2.2kg/d 사료급여와 포유돈 사료 섭취량
일반적인 건강상태, BCS 2.5~3.5점(1~5점), 0~4산의 특징에 따라 임신 89일 모돈을 분류했다. 후보돈의 경우 초교배일령 190일 이상, 경산돈의 경우 이전 산차에서 총산 9두 이상만 대상으로 선택하고 임신 90일부터 분만까지 1.8kg 또는 2.2kg 임신돈 사료를 급여했다.
임신말기 1.8kg/d 사료급여 그룹은 포유기간 동안 440g/d 더 많은 사료를 섭취했다(5.94 ± 0.19 vs 5.50 ± 0.18 kg/d, p<0.001)(그림 6).
(그림 6) 임신 90일 ~ 분만까지 1.8kg/d vs 2.2kg/d 사료 급여량과 포유돈 사료 섭취량* 2019년 61개 조합원 농장의 일평균 임신돈, 포유돈 사료 섭취량
전국 7개 지역 조합원 농장 61곳의 2019년 하루 평균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 섭취량을 계산하고 두개 사이의 관계를 평가했다.
월 평균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 공급량을 월 평균 분만 두수와 임신 두수로 각각 나누고 다시 31일로 나누어서 하루 평균 섭취량을 계산했다.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 섭취량의 피어슨 상관계수(r=-0.4870)을 평가했을때 임신돈 사료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포유돈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다(p<0.0001)(그림 7).
(그림 7) 2019년 61개 조합원 농가들의 임신돈, 포유돈 사료 섭취량(kg/d)(Pearson r=-0.4870, p<0.0001)* WS 농장의 모돈당 연간 임신돈, 포유돈 사료 급여량
2009년 ~ 2016년까지 WS 농장의 모돈당 연간 번식돈 사료 급여량을 살펴보면 매년 임신돈 사료 급여량은 감소했지만 포유돈 사료 급여량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고 오히려 번식성적은 증가했다(표 2).
(표 2) WS 농장의 연간 번식돈 사료 급여량(kg/년)3. 미국 PIC RJ Thomas 농장 3곳(농장당 모돈 5,700두)의 번식성적과 하루 평균 모돈의 사료 섭취량
농장당 모돈 5,700두 규모의 PIC RJ Thomas 농장 3곳의 1년 평균 PSY는 34.7, 35.2, 35.3두의 높은 성적을 보인다(표 3). 이 자료는 2017년 8월 PIC 수의사님으로부터 받은 자료이기 때문에 현재는 더 높은 PSY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
하루 평균 임신돈 사료 섭취량이 2.0~2.2kg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PSY를 기록한다는것이 주목할점이다. 임신기간 모돈의 사료 섭취량을 최소화하는 대신에 포유기간 사료 섭취량을 최대화하는 전략으로 생각된다.
(표 3) 미국 PIC Thomas 농장(각 모돈 5,700두)의 번식성적4. 참고 문헌
1. Young MG, Tokach MD, Aherne FX, Main RG, Dritz SS, Goodband RD, Nelssen JL.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feeding sows in gestation and the subsequent effects on lactation performance. J Anim Sci. 2004 Oct;82(10):3058-70.
2. Michel Vignola. Sow feeding management during lactation. London Swine Conference – Tools of the Trade 1-2 April 2009.
3. Ren P. Yang XJ, Railton R, Jendza J, Anil L, Baidoo SK.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feed intake during four short periods of gestation and housing systems on sows and litter performance. Ani Repro Sci 188 (2018) 21–34.
4. Revell DK, Williams IH, Mullan BP, Ranford JL, Smits RJ. Body composition at farrowing and nutrition during lactation affect the performance of primiparous sows: I. Voluntary feed intake, weight loss, and plasma metabolites. J Anim Sci. 1998 Jul;76(7):1729-37.
5. Mallmann AL, Betiolo FB, Camilloti E, Mellagi APG, Ulguim RR. Wentz I, Bernardi ML, Gonçalves MAD, Kummer R, Bortolozzo FP. Two different feeding levels during late gestation in gilts and sows under commercial conditions: impact on piglet birth weight and female reproductive performance. J. Anim. Sci. 2018.96:4209–4219.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