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돈 초발정 일령의 중요성과 초발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79 조회
- 목록
본문
2-1. 후보돈 초발정 일령의 중요성과 초발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앞선 주제에서 후보돈 초교배 목표와 눈에 보이지 않는 경제적 손실을 소개했다.
요점만 정리하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돈 회전율에는 후보돈의 비생산일수가 빠져있기 때문에 초교배일령이 지연되도 생산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교배일령을 늦췄을때 실제로 얼마만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지를 계산해서 보여줬다.
추가로 평균 초교배 일령(2~3회 발정, 체중 135kg 이상)을 230~250일로 권장하고 논문과 조합 전산 상위 농장들의 성적을 제시하며 문제가 없음을 보여줬다.
초교배 목표의 조건중 하나가 발정 2~3회 이기 때문에 이번 주제에서는 후보돈 초발정 일령의 중요성과 초발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겠다.
1. 후보돈 초발정 일령의 중요성
초발정은 후보돈의 잠재정 생식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첫 지표이다. 또한 수태율과 생산성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들과도 상당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 성장률
후보돈 152두(54.0kg, 96.3일, 11.9mm)를 대상으로 초발정 시점과 성장률을 조사했을때 초발정 일령과 살코기(lean) 성장률은 서로 반비례 관계를 나타냈다(그림 1). 즉 같은 그룹내 초발정 일령이 느린 개체들은 상대적으로 체중이 낮다.
(그림 1) 초발정 일령과 살코기 성장률 사이의 관계(약 50kg ~ 초발정까지)* 산자수
후보돈이 150일령에 도달했을때 30일간 웅돈을 노출시키고 발정 시점에 따라 early(조기), late(늦은) 반응 2그룹으로 분류했다. 조기반응 그룹은 170일, 늦은반응 그룹은 200일령에 평균 초발정을 기록했다. 만약 웅돈 노출을 150일령이 아닌 180일령에 했다면 조기와 늦은 반응을 구별할 수 없었을 것이다.
두 그룹 모두 240~260일령(적어도 1회 이상, 보통 2회 발정) 사이에 초교배를 했고 조기반응 그룹에서 6산후 교배비율 22.9%, 평균 실산 0.9두, 일생동안 실산 12.2두 높게 나타났다(p<0.05)(표 1).
(표 1) 후보돈 초발정 일령과 일생동안 생산성적* 모돈 연산성
이른 초발정을 나타낸 후보돈들은 돈군에서 더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더 많은 자돈들을 생산한다.
웅돈 노출후 발정 시점에 따라 3산까지 교배 비율과 도태일령을 봤을때 웅돈 노출 후 1주이내 발정온 그룹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p<0.005)(그림 2).
(그림 2) 웅돈노출 후 발정시점과 0~3산 교배비율, 도태일령 관계(Knox et al., NPB 17-139)2. 후보돈 초발정 일령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자돈 생시체중
평균 생시체중 분포가 1.13 ~ 1.98kg 자돈 33두를 대상으로 150일령부터 웅돈을 노출시켜 초발정 일령과 생시체중 사이의 관계를 평가했다.
결과적으로 평균 생시체중이 증가할수록 초발정 일령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생시체중 1.5kg 초과 그룹(Heavy)은 1.5kg 이하 그룹(light) 보다 평균 초발정일령이 11.6일 빨랐다(그림 3).
후보돈을 구입해서 사용하는 일반농장의 경우 GP농장으로부터 후보돈의 생시체중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생시체중 대신 입식 일령과 체중 정보를 받아서 일당증체량이 좋은 후보돈을 선택하면 된다.
(그림 3) 생시체중과 초발정일령 사이의 관계* 영양
현대 양돈 유전자형은 체지방이 감소하고 단백질 성장이 증가하도록 개량됐다. 따라서 후보돈 영양 계획은 성성숙 이전에 지방 축적을 높이고 살코기 조직 성장을 제한하기 위해서 단백질 제한 사료를 급여한다.
사료내 라이신 함량을 50% 감소시키는 방법은 지방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성장을 제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성장률 감소, 초발정 지연, 배란율 감소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초발정 유도 7일전에 단백질 플러싱(flushing) 급여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한다(그림 4).
(그림 4) 초발정 일령, 등지방 두께, 2회 발정시 배란율에 대한 단백질 제한 사료 급여의 영향(p<0.05)* 사육 환경(사육밀도, 합사)
후보돈 218두를 대상으로 그룹 구성과 사육밀도를 다르게 적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룹의 구성은 비육사 이동시점에서 평균 체중 이상 재결합(RAMW), 평균 체중 이하 재결합(RBMW), 비재결합(NR)으로 분류했다. 참고로 비육사 pen은 가로 3.66m, 세로 2.13m 면적을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그룹 구성과 사육밀도 사이의 상호작용은 후보돈 초발정 일령에 영향을 미쳤다(p<0.05).
6두/pen, NR그룹은 6두 또는 12두의 다른 그룹들보다 초발정 일령 38일 빨랐다. 또한 6두/pen 사육의 경우 RBMW 그룹은 RAMW 그룹보다 44일 빠른 반면에 12두/pen 사육의 경우 32일 느리게 나타났다(그림 5).
(그림 5) 그룹 구성과 사육밀도 사이의 상호작용이 초발정 일령에 미치는 영향(표준편차 25.3; df, 20)* 계절
후보돈 211두를 대상으로 출생 계절과 초발정 일령을 분석했다. 봄에 태어난 후보돈보다 가을에 태어난 후보돈 그룹의 초발정 일령이 35일 빠르게 나타났다(표 2).
(표 2) 초발정 일령에 대한 태어난 계절의 영향덴마크 농장으로부터 4그룹의 요크셔 후보돈을 받아서 루마니아에서 2년간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1년차 평균 초발정 일령은 가을(p=0.011), 봄(p=0.002), 여름(p=0.040)보다 겨울철에 빠르게 나타났다. 실험 2년차 실험결과도 마찬가지로 겨울에 평균 초발정 일령이 가장 빨랐다(p=0.009, 0.030, 0.029)(표 3).
(표 3) 2년 동안 계절별 후보돈의 초발정 일령* 조도
84일령 후보돈 32두를 대상으로 빛 노출시간은 5시 30분 ~ 8시 30분, 16시 30분 ~ 20시 30분 동일한 조건에서 조도(1200 lux, 360 lux, 90 lux, 10 lux 미만)를 다르게 적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270일령까지 초발정을 보인 누적비율은 1200, 360, 90 lux 조도 그룹에서 유사하게 나타났고 10 lux 미만 그룹만 낮았다(p<0.05)(표 4).
(표 4) 다양한 빛의 강도 노출후 후보돈 초발정 일령과 비율빛의 노출시간의 경우 논문 결과에 따라 조금 차이는 있으나 자연 채광 또는 18시간 인공조명을 노출시켜줄때 가장 빠른 초발정 일령을 보여준다(표 5) .
(표 5) 빛 노출시간과 후보돈 초발정 일령* 웅돈 노출
규칙적인 웅돈 노출은 후보돈에게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cortisol 농도를 증가시킨다. Cortisol 증가는 미성숙 후보돈에서 LH 농도를 증가시킨다.
높은 성욕의 웅돈을 노출시킬때 후보돈의 초발정 일령을 단축시킨다(그림 6).
(그림 6) 웅돈 노출과 후보돈 초발정 일령, LH와 cortisol 농도의 관계(p<0.05)3. 참고 문헌
1. Patterson JL, Ball RO, Willis HJ, Aherne FX, Foxcroft GR. The effect of lean growth rate on puberty attainment in gilts. J Anim Sci. 2002 May;80(5):1299-310.
2. Calderón Díaz JA, Vallet JL, Lents CA, Nonneman DJ, Miles JR, Wright EC, Rempel LA, Cushman RA, Freking BA, Rohrer GA, Phillips C, DeDecker A, Foxcroft G, Stalder K. Age at puberty, ovulation rate, and uterine length of developing gilts fed two lysine and three metabolizable energy concentrations from 100 to 260 d of age. J Anim Sci. 2015 Jul;93(7):3521-7.
3. Wijesena HR, Lents CA, Riethoven JJ, Trenhaile-Grannemann MD, Thorson JF, Keel BN, Miller PS, Spangler ML, Kachman SD, Ciobanu DC. GENOMICS SYMPOSIUM: Using genomic approaches to uncover sources of variation in age at puberty and reproductive longevity in sows. J Anim Sci. 2017 Sep;95(9):4196-4205.
4. Evans ACO, O’Doherty JV. Endocrine changes and management factors affecting puberty in gilts. Livestock Production Science 68 (2001) 1–12.
5. Pearce GP, Paterson AM. The effect of space restriction during rearing on the attainment of puberty and subsequent reproductive activity of female pigs. Anim Reprod Sci, 32 (1993) 99-106.
6. A.M. Paterson AM, t, G.P. Pearce GP, D'Antuono MF. Seasonal variation in attainment of puberty in isolated and boar-exposed domestic gilts. Anim Reprod Sci, 24 ( 1991 ) 323-333.
7. Mavrogenis AP, Robison OW. Factors affecting puberty in swine. J Anim Sci. 1976 May;42(5):1251-5.
8. Barnett JL, Cronin GM, Winfield CG.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penning of pigs on total and free plasma corticosteroids and the maximum corticosteroid binding capacity. <span data-mce-style="color: #000000;" style="color: rgb(0, 0, 0); font-f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