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PRRS 대응 핀포인트 레슨
작성자 정보
- 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6 조회
- 목록
본문
1. 고병원성 PRRS 발생 이유
• 기존 백신이나 자연 항체로 현재 바이러스 방어 실패
• 바이러스가 면역 회피를 하여 PRRS 음성농장처럼 심각한 증상 유발
2. 백신 대응법
• 기존 백신 효과가 약하면 다른 생독 백신 교체 적용 고려
• 추가적인 사독백신도 접종도 고려사항
• 1두 1침 접종 또는 무침 주사기 사용하여 전파 차단
• 최근 유행하는 PRRS는 리니지 1이 유행하고 있으며 번식모돈에서의 유산, 식불등 발생
• 3개월마다 보강접종 필수
3. PRRS 안정화를 위한 돈군 관리 전략
(1) 돈군 폐쇄 전략
• 후보돈 6개월 일괄 도입 후 중단 → 이상적이지만 비용, 시설 부담 큼
• 대안: 자체 선발 진행 + 후보돈 면역 부여 후 입식
(2) 디팝/리팝(전체 비우고 다시 채우기)
• 자돈/육성사 디팝 비용: 모돈 1,000두 농장 기준 약 7.8억 원
• 비용 대비 부담 매우 큼, 신중 검토 필요
4. PRRS 안정화를 위한 내부 차단 방역 필수 사항
• 후보돈사 격리 1개월: PRRS 바이러스 배출 기간 확보
• 자돈사 철저한 수세와 올인-올아웃 운영: 감염일령 최대한 지연
• 돈방별 장화 교체 및 슬러리 처리 철저: 농장내 순환 감염 방지
5. 운영 마인드
• "다 해봤다"는 사고 지양 →
“어디가 잘못되었나? 제대로 되고 있나?”를 끊임없이 점검
• 여러 수의사의 다양한 견해 수용 → 농장에 최적화된 방법 찾아야 함
6. 결론
• 공포에 휘둘리지 말 것
• 기본 방역과 합리적 백신 전략으로 고병원성 PRRS도 컨트롤 가능
• 기존 백신이나 자연 항체로 현재 바이러스 방어 실패
• 바이러스가 면역 회피를 하여 PRRS 음성농장처럼 심각한 증상 유발
2. 백신 대응법
• 기존 백신 효과가 약하면 다른 생독 백신 교체 적용 고려
• 추가적인 사독백신도 접종도 고려사항
• 1두 1침 접종 또는 무침 주사기 사용하여 전파 차단
• 최근 유행하는 PRRS는 리니지 1이 유행하고 있으며 번식모돈에서의 유산, 식불등 발생
• 3개월마다 보강접종 필수
3. PRRS 안정화를 위한 돈군 관리 전략
(1) 돈군 폐쇄 전략
• 후보돈 6개월 일괄 도입 후 중단 → 이상적이지만 비용, 시설 부담 큼
• 대안: 자체 선발 진행 + 후보돈 면역 부여 후 입식
(2) 디팝/리팝(전체 비우고 다시 채우기)
• 자돈/육성사 디팝 비용: 모돈 1,000두 농장 기준 약 7.8억 원
• 비용 대비 부담 매우 큼, 신중 검토 필요
4. PRRS 안정화를 위한 내부 차단 방역 필수 사항
• 후보돈사 격리 1개월: PRRS 바이러스 배출 기간 확보
• 자돈사 철저한 수세와 올인-올아웃 운영: 감염일령 최대한 지연
• 돈방별 장화 교체 및 슬러리 처리 철저: 농장내 순환 감염 방지
5. 운영 마인드
• "다 해봤다"는 사고 지양 →
“어디가 잘못되었나? 제대로 되고 있나?”를 끊임없이 점검
• 여러 수의사의 다양한 견해 수용 → 농장에 최적화된 방법 찾아야 함
6. 결론
• 공포에 휘둘리지 말 것
• 기본 방역과 합리적 백신 전략으로 고병원성 PRRS도 컨트롤 가능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