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포인트 레슨 (Pinpoint lesson)

자돈사의 부종병 컨트롤 케이스

작성자 정보

  • 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부종병의 원인, 대처 방안 및 수익성 분석

1. 부종병의 원인
- 병원성 대장균(F18 섬모 항원)이 장에 부착하여 베로독소(verotoxin)를 분비, 이는 모세혈관을 파괴하여 전신 부종 및 신경증상을 유발함.
- 주로 이유자돈에서 발생.
- 주요 발병 원인:
  • 산화아연 제한 (부숙도 기준 강화로 고용량 사용 어려움)
  • 항생제 사용 제한 (사료 첨가 항생제 금지 후 병원성 대장균 검출률 증가)
  • 콜리스틴 내성 증가 (주요 치료 항생제에 대한 효과 저하)
  • 위생 수준이 높은 농장에서 더 자주 발생 (증체량 높은 개체에서 더 잘 나타남)



2. 대처 방안
기존 대처 방식:
- 항생제 사용: 콜리스틴, 암피실린
- 사료 첨가제: 산화아연(2,500ppm 이상), 유기산 제제 투여
- 사료 프로그램 조정: 이유 후 절식 및 제한 급이
※ 위 방식의 한계: 내성 증가 및 규제 때문에 효과 지속 어려움
예방 중심 접근:
- 부종병 백신 사용 (2020년 5월 이후 상용화)
- 포유자돈 시기부터 적용
- 지속적인 병원균 검출에도 폐사율 및 임상 증상 감소
- 단순 증상 대응이 아닌 선제적 예방 전략 필요

3. 수익성 분석
사례: 전라도 소재 1,000두 규모 일괄 관리 농장



경제적 분석:
- 폐사율 감소 효과: 주간 975,000원 (500두 × 0.013 × 150,000원)
- 도달일령 개선 효과: 주간 4,104,000원 (475두 × 3kg × 7.2일 × 400원)
- 총 수익: 주간 5,079,000원
- 백신 비용: 주간 1,000,000원 (500두 × 2,000원)
- 투자 수익률(ROI): 약 5.1배

4. 결론 및 제안
- 부종병은 많은 농장에서 상재하고 있으나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음.
- 기존 항생제·산화아연 중심 대응은 한계 존재.
- 부종병 백신 사용은 폐사율 및 증체율 개선에 뚜렷한 효과.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핀포인트 레슨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