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적 향상을 위한 이유모돈 첨가제(Dantabs) 실험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38 조회
- 목록
본문
1. 성분
내용물을 보면 유청분말, 감자녹말, 포도당, 탄산칼슘, 효모,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된 제품으로 kg당 각 성분 함량은 다음과 같다(그림 1).
- 조단백 7.60%, 조지방 1.70%, 조섬유 0.10%, 칼슘 5.00%, 조회분 25.00%, 염화수소 6.00%, 라이신 0.25%, 나트륨 1.40%, 메티오닌 0.05%, 구리 2,500mg, 마그네슘 5,250mg, 아연 5,250mg, 요오드 300mg, 셀레늄 50mg
(그림 1) Dantabs 성분과 함량2. 효과
수입 신고서의 부표 내용으로 모돈 발정자극, 모돈 수정율 향상, 번식돈군(모돈, 후보돈, 웅돈)의 수정능력 개선 효과가 있으며 아래는 판매처로부터 받은 자료이다(표 1).
(표 1) Dantabs 효과판매처로부터 받은 다른 실험데이터는 30일까지 자돈의 폐사율 실험이 있다. 2014년 모돈 1,727두 규모의 고객농장에서 16주간(주당 108두 모돈) 3회 실험을 진행했을때 Dantabs 급여군에서 자돈 폐사율이 1.5~2.0% 적게 나타났다.
3. 기타 설명
포장단위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통으로 무게는 5kg 이며 1통에 모돈 40~50두 분량의 1,000tabs 포함된다.
용법 및 용량은 모돈에게 하루에 2알씩 이유후부터 교배까지 급여로 되어있는데 serupgard 농장에서는 이유 다음날(토)부터 교배가 끝나는날(수)까지 5일 동안 아침에 1회 5알을 모돈에게 급여했다. 부표의 용법으로는 5일 x 4알씩으로 1통에 모돈 50두 분량이며, serupgard 농장의 용법으로는 5일 x 5알씩으로 40두 분량이 된다.
하루에 모돈 두당 20알 이하로 급여하라는 주의사항이 있는데 그 이유는 확인하지 못했다. 제품은 건조하고 햇빛이 비치지 않는 장소에 보관해야 하며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9개월까지 이다.
4. 농장 실험 데이터
내용에 앞서 같이 실험을 하며 고생한 한승재 수의사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실험을 시작한 이유는 정말로 총산 1두 증가 효과가 있는지 궁금했고 실험 결과 효과가 검증 된다면 많은 조합원 농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해당 농장은 전라도 소재 모돈 1,000두 규모의 일괄사육 농장으로 2018년 7주 ~ 16주차 교배 모돈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목요일 이유 후 금요일부터 화요일까지 모돈 두당 오전 1회 5 tabs을 각각 급여했고 재귀발정일을 확인했다. 또한 교배 성공 모돈이 분만했을때의 산자수와 자돈의 생시체중을 개체별로 측정했다.
4.1 재귀발정일
재귀발정일은 실험군 모돈 210두(평균 4.2산), 대조군 모돈 189두(평균 4.3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Dantabs 급여한 실험군의 모돈에서 재귀발정일이 약 0.71일(실험군 4.89 ± 0.13 vs 대조군 5.60 ± 0.29) 빠르게 나타났다(그림 2).
(그림 2) 평균 재귀발정일(Mean ± SEM, p=0.0231)4.2 수태율과 분만율
실험군의 모돈에서 수태율은 4.7%, 분만율은 3.7% 높게 나타났다(그림 3). 수태율 계산은 임신진단 이후 유산, 폐사, 도태(지제, 견좌 등) 개체를 제외한 재발두수만 포함시켰다.
(그림 3) 수태율과 분만율4.3 산자수 (전산차, 이번산차 총산)
산자수는 실험군 모돈 191두(평균 4.2산), 대조군 모돈 165두(평균 4.3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총산 14.77 ± 0.28)과 대조군(총산 14.84 ± 0.28)의 산자수 차이는 없었다(그림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산차 총산 역시 차이는 없었기 때문에 실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림 4) 전산차, 이번산차 총산자수(Mean ± SEM, p>0.05)4.4 생시체중
참고로 산자수 모돈수(실험군 191두, 대조군 165두)와 생시체중 측정 모돈수(실험군 46두, 대조군 49두)의 차이가 있다. 생시체중 측정 모돈수가 적은 이유는 생시체중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주 분만 요일(목 또는 금)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까지 한승재 수의사와 함께 분만사에 머물면서 실시간으로 태어난 자돈들의 체중을 측정했기 때문에 다른 분만 요일이나 우리가 체크하지 못했던 경우는 제외시켰다. 또한 계속해서 주 분만 요일마다 농장을 방문할 수 없기 때문에 생시체중 측정은 1개월만 진행했다.
산자수는 생시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산자수 조건을 동일하도록 설정했다. 실험군 46두(평균 4.3산), 대조군 49두(평균 4.5산)를 대상으로 실험군(총산 15.70 ± 0.55)과 대조군(총산 15.82 ± 0.48)의 산자수 차이는 없었다.
다시한번 강조하면 생시체중은 분만사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막 태어난 자돈을 체중 측정했기 때문에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평균 생시체중은 실험군 1.425 ± 0.015, 대조군 1.321 ± 0.013으로 실험군에서 104g(7.9%) 높게 나타났다(그림 5, 그림 6, 표 2).
(그림 5) 평균 생시체중(Mean ± SEM, p<0.0001) (그림 6) 생시체중 분포 비율 (표 2) 생시체중 분포 두수와 비율4.5 체미돈 발생율
체미돈의 기준은 태어났을때 1.0kg 미만의 체중을 가진 자돈을 말한다. 체미돈 분만 모돈 비율이란 모돈 1두가 체미돈 1두 이상 분만한 경우 해당되며 체미 자돈 발생율은 태어난 자돈들 중 1.0kg 미만의 자돈 비율을 뜻한다.
실험군에서 생시체중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당연히 체미돈 발생율도 실험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체미돈 1두 이상을 분만한 모돈의 비율은 대조군 대비 18.6% 낮았으며 체미 자돈 발생율 또한 1.7% 낮았다(그림 7).
(그림 7) 체미돈 분만 모돈과 자돈 비율4.6 생시체중 향상으로 인한 출하일령 단축 효과
실험군의 자돈들에게 이표를 붙이고 출하까지 추적하여 출하일령과 폐사율을 확인했다면 더 좋은 실험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었겠지만 거기까지 진행하진 못했다. 대신 관련 논문을 근거로 실험군의 생시체중이 104g(7.9%) 높은 결과를 적용해서 출하일령이 얼마나 단축될지 추정했다.
논문의 데이터를 근거로 Dantab 급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생시체중 비율을 적용하면 실험군의 출하일령은 171일, 대조군의 출하일령은 176일이 나타난다(표 3). 즉 실험군의 출하일령이 5일 빠르고 조합 5호사료(18년 7월 단가)를 기준으로 비육돈이 하루 3kg 사료를 섭취한다고 하면 5,685원/두 사료비 절감 효과가 나타난다.
(표 3) 생시체중과 출하일령(Nevrkla et al 2017)4.7 생시체중 향상으로 인한 폐사율 감소 효과
Pig 333 사이트에 기고된 데이터를 근거로 Dantab 급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포유부터 비육 출하까지 폐사율을 적용하면 실험군은 12.8%, 대조군은 14.1%의 폐사율이 예상된다(그림 8). 실험군의 폐사율이 1.3% 낮기 때문에 2018년 평균 실산 12.8두 x 회전율 2.49 x 육성율 1.3% 적용하면 MSY 0.41두 상승 효과가 나타난다.
(그림 8) 생시체중과 폐사율(https://www.pig333.com/articles/effects-of-birth-weight-parity-and-litter-size-on-pig-performance-he_11619/)다른 논문의 데이터를 적용했을때도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실험군에서 10.3%, 대조군에서 11.4% 폐사율을 보이며 실험군에서 1.1% 낮게 나타난다(표 4). 위와 같은 방식으로 평균 실산 12.8두 x 회전율 2.49 x 육성율 1.1% 적용하면 MSY 0.35두 상승 효과가 나타난다.
(표 4) 생시체중과 폐사율(Zotti et al 2017)4.8 Dantabs 적용시 경제성 평가
사실 모든 약품을 사용할때 효과도 중요하지만 경제적으로 약품비와 효과로 얻어지는 비용을 계산해서 이득이 되어야만 농장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Dantabs 적용 관련 항목별로 자세히 알아보겠다.
1. 출하일령 단축에 의한 사료비 절감 (출하일령 -5일)
비육돈 두당 사료비 절감 효과는 5,685원(18년 7월 조합5호 사료단가 379원/kg x 비육돈 하루 사료섭취량 3kg x 출하일령 단축 5일)이다. 2018년 MSY 25.4두(자돈 판매 제외)의 생산성적을 적용하면 모돈 두당 144,399원의 사료비 절감 효과가 있다.
2. 폐사율 감소에 의한 출하두수 증가 (육성율 +1.1~1.3%)
폐사율 감소로 인한 MSY 0.4두(육성율 1.1~1.3% x 회전율 2.49 x 실산 12.8두) 증가 효과가 나타나고 이 농장의 2018년 경영 분석 결과를 적용하면 모돈 두당 46,458원의 이익이 발생한다.
3. 분만율 증가로 인한 출하두수 증가 (출하두수 +967두)
분만율이 3.7% 증가하면서 출하두수는 연간 967두(상시모돈두수 x 회전율 2.49 x 분만율 3.7% x 이유두수 11.5두 x 이유후 육성율 91.3%)가 증가하고 MSY 환산시 0.97두 증가한다. 이 농장의 2018년 출하두당 순이익(110kg 기준, 116,145원)을 적용하면 모돈 두당 112,336원의 이익이 발생한다.
4. 재귀발정일 단축에 의한 산자수 증가 (+ α)
일반적으로 재귀발정일이 빠른 모돈들에서 산자수가 높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실험군의 재귀발정일이 0.71일 빨랐음에도 산자수(총산, 실산)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이익의 부분은 따로 계산하지 않았다.
5. Dantabs 구입 비용 (마이너스)
18년 7월 6일 1,116원 환율을 기준으로 1 bucket(모돈 40두 급여)의 가격을 적용하면 모돈 두당 3,962원의 약품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1,2,3,5번 항목을 종합해서 전체 순이익을 따져보면 모돈 두당 299,231원의 이익(1+2+3-5)이 발생한다. 모돈 두당 이익은 사료비 변동과 돈가 그리고 Dantabs 운송비(해상으로)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점을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생시체중 104g 증가로 인한 경제적 이득이 작을거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으나 출하체중 10kg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5. 참고 문헌
1. Nevrkla P, Václavková E, Hadaš Z, Kamanová V. Effect of birth weight of piglets on their growth ability,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Acta Univ. Agric. Silvic. Mendelianae Brun. 2017, 65, 119-123.
2. Zotti1 E, Resmini FA, Schutz LG, Volz N, Milani RP, Bridi AM, Alfieri AA, Silva CA. Impact of piglet birthweight and sow parity on mortality rates,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 pigs. R. Bras. Zootec., 46(11):856-862, 2017.
3. Effects of birth weight, parity and litter size on pig performance, health and welfare. https://www.pig333.com/articles/effects-of-birth-weight-parity-and-litter-size-on-pig-performance-he_11619
4. A. Panzardia A, Bernardib ML, Mellagia AP, Bierhalsa T, Bortolozzoa FP, Wentza I. Newborn piglet traits associated with survival and growth performance until weaning.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110 (2013) 206– 213.
5. Václavková E., Daněk P., Rozkot M. The influence of piglet birth weight on growth performance. Reserach in Pig Breeding, 6, 2012 (1)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