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모돈에게 섬유소 공급의 중요성
작성자 정보
- 닥터스와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24 조회
- 목록
본문
1. 모돈의 내분비와 대사상태 변화
후보돈 18두를 대상으로 임신 26일부터 분만까지 조섬유 2.8% 또는 11.0%를 급여하고 임신 109일 ~ 분만 그리고 포유 4일, 18일, 26일 식전 혈액을 샘플링 했다.
조섬유 11.0% 급여 모돈에서 프로락틴(prolactin)은 부분적으로 증가, 랩틴(leptin)은 분만전 시점에서 감소, IGF-I는 차이가 없었다(그림 1).
분만후 1일 프로락틴 농도와 분만 후 48시간(p=0.030), 포유 7일(p=0.02), 이유시점(p=0.06) 자돈체중은 비례 관계, 분만 전날 랩틴 농도와 포유기간 평균 사료섭취량은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섬유소 공급에 의한 내분비 변화는 중요하다.
(그림 1) 조섬유 2.8% vs 11.0% 급여한 모돈에서 임신말기와 포유기간 프로락틴, IGF-I, 랩틴 농도변화(means ± SEM)식전(preprandial) 글루코스, NEFA, 요소, 젖산의 농도를 측정했을때 조섬유 11.0% 급여 모돈에서 분만전 요소, 아미노질소는 낮고 글루코스, NEFA는 높게 나타났다(그림 2).
(그림 2) 조섬유 2.8% vs 11.0% 급여한 모돈에서 임신말기(d -4), 분만(d 0), 포유(d 4, 18, 26) 시점 대사산물 농도변화(means ± SEM)2. 변비 감소와 분만시간 단축
분만 3주전 모돈 81두를 대상으로 41두는 조섬유 3.8%, 40두는 조섬유 7.0%를 급여하고 분변 상태와 모돈의 장 활동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분변 상태는 0~5점으로 0점=분변 없음, 1점=건조, 2점=건조~정상, 3점=정상, 4점=정상~수분, 5점=매우 수분기 있는 분변으로 평가했다.
조섬유 7.0% 그룹은 2.1 ± 1.3, 3.8% 그룹은 1.2 ± 1.1으로 평균 분변 상태를 보이며 조섬유 7.0% 급여 그룹에서 더 좋게 나타났다(p<0.001)(그림 3).
(그림 3) 분만 3주전 조섬유 7.0%(FIBRE) vs 3.8%(LACT) 급여한 모돈의 평균 분변 상태(*p<0.05, **p<0.01, ***p<0.001)조섬유 3.8% 급여 그룹의 22%는 5일 이상 분변을 배출하지 않는 극심한 변비 증상이 나타난 반면 7.0% 급여 그룹은 5%로 비율이 낮았다(p<0.05)(그림 4).
개체별 음수 섬취량은 조섬유 7.0% 급여 그룹에서 더 높았다(29.8 ± 4.9L vs 20.2 ± 3.3L, p<0.001)
(그림 4) 분만 3주전 조섬유 7.0%(FIBRE) vs 3.8%(LACT) 급여한 모돈의 변비 발생율평균 분변 상태가 2 ± 0.6일때 점수가 낮을수록 분만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 즉 변비 정도가 심할수록 분만 지속시간은 길어진다(그림 5).
(그림 5) 평균 변비 점수와 분만 지속시간3. 포유돈 사료 섭취량 증가
초산돈 16두를 대상으로 24 MJ의 동일한 정미에너지(NE)를 공급하되 조섬유 농도를 다르게 적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교배부터 임신 4주까지 모든 모돈들에게 임신돈 사료 2.5kg/d를 급여했고 이후 대조군 3.5% vs 실험군 12.8% 조섬유 농도를 다르게 급여했다.
분만 12일전 분만사에 전입하고 포유 14일까지 급이기 프로그램을 통해 모돈이 직접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를 선택할 수 있게 만들었다(그림 6). 포유 15일부터는 두그룹 모두 포유돈 사료만 급여했다.
(그림 6) 사료 급이기 프로그램임신기간 조섬유 12.8% 급여한 모돈그룹은 포유돈 사료섭취 비율이 더 높았다(p<0.05). 12.8% 그룹은 분만 5일전 포유돈 사료 섭취 비율이 50%에 도달한 반면 3.5% 그룹은 포유 13일이 되어야 50%에 도달했다(p<0.01)(그림 7).
(그림 7) 임신기간 조섬유 3.5% vs 12.8% 급여 그룹의 포유돈 사료섭취량 비율 변화후보돈 18두를 대상으로 임신 26일부터 분만까지 조섬유 2.8% 또는 11.0%를 급여하고 포유기간 사료섭취량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임신기간 조섬유 11.0% 급여 그룹은 2.8% 급여 그룹보다 전체 포유기간 동안 0.94kg/d(7.19 ± 0.39 vs 6.25 ± 0.32 kg/d) 더 많은 사료를 섭취했다(p=0.01)(그림 8).
(그림 8) 임신기간 조섬유 2.8% vs 11.0% 급여 모돈들의 포유돈 사료 섭취량(means ± SEM)4. 번식성적 향상 (사산율, 자돈 폐사율 등)
1~8산 덴마크 LY모돈 644두(매주 13~26두, 32주 연속)를 대상으로 분만전 마지막 2주동안 섬유소 함량을 다르게 적용하고 사산율, 이유전 폐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대조군 310두는 임신 102~108일 임신돈, 임신 109일 ~ 분만까지 전환기 사료를 급여했다. 실험군 334두는 임신돈 사료 280g/d, 전환기 사료 570g/d 대신 섬유소 350g/d, 700g/d으로 각각 대체했다(그림 9).
(그림 9) 실험기간 대조군(solid suqare)과 실험군(open square)의 사료와 섬유소 공급량(kg/d)풍부한 섬유소를 공급한 실험군은 사산율(8.8% vs 6.6%, p<0.001)과 총산 폐사율(22.3% vs19.9%, p=0.004), 낮은 활력도로 인한 폐사율(2.8% vs 1.5%, p<0.001)과 설사 발생율(0.7% vs 0.3%, p=0.004)을 감소시켰다(표 1).
(표 1) 사산, 실산, 총산, 이유전 폐사율에 대한 섬유소의 효과모돈 29두를 대상으로 임신 106일부터 분만까지 조섬유 23.4% vs 13.3%를급여하고 저체중 자돈의 초유 섭취를 평가했다. 섬유소 농도는 분만 1일부터 포유 21일까지 초유량(3.9 ± 0.2kg) 또는 자돈 증체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HF그룹 모돈에서 태어난 900g 미만 저체중 자돈들의 초유 섭취량이 더 높았다(216 ± 24g vs 137 ± 22g; p=0.02)(표 2). 또한 이유전 폐사율이 더 낮았다(6.2% vs 14.7%; p=0.01)(표 2).
(표 2) 임신말기 13.3%(LF) vs 23.4%(HF) 섬유소 농도를 다르게 급여한 모돈에서 태어난 저체중(<900g) 자돈들의 24시간 동안 변화5.참고 문헌
3. Quesnel H, Meunier-Salaün MC, Hamard A Guillemet R, Etienne M .Farmer C, Dourmad JY, Père MC. Dietary fiber for pregnant sows: Influence on sow physiology and performance during lactation. J. Anim. Sci. 2009. 87:532–543.
4. Guillemet R, Guérin C, Richard F, Dourmad JY, Meunier-Salaün MC. Feed transition between gestation and lactation is exhibited earlier in sows fed a high-fiber diet during gestation. J. Anim. Sci. 2010, 88:2637-2647.
5. Oliviero C, Kokkonen T, Heinonen M, Sankari S , Peltoniemi O. Feeding sows with high fibre diet around farrowing and early lactation: Impact on intestinal activity, energy balance related parameters and litter performance. Research in Veterinary Science 86 (2009) 314–319.
6. Peltoniemi OAT, Björkman S, Oliviero C. Parturition effects on reproductive health in the gilt and sow. Reprod Dom Anim 2016; 51 (Suppl. 2): 36–47.
7. Peter Ramaekers. Effect of high fiber intake in sows in the transition period on piglet survival. https://www.pig333.com/articles/effect-of-high-fiber-intake-in-sows-in-the-transition-period-on-piglet_7281/
관련자료
-
이전
-
다음